Q. 우리가 먼 미국 수출 보다 아시아쪽 수출을 많이 하면 더 이득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아무래도 가까운곳이면 운임이 저렴할 수 있지만 미국은 세계 최대의 시장 중 하나이기 때문에 아시아의 국가에서 받아줄수 있는 수량을 훨씬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다보니 미국,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에 판매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물론, 제품 경쟁력과 수요가 미국보다 아세안 국가에서 소비가 크다면 해당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입니다. 또한, 운임의 경우 멀수록 비쌀수도 있지만 대량의 물품을 지속적으로 보낼 수 있다면 오히려 단건보다 경쟁력있는 가격을 만들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관세사 자격증
Q. 한-미 FTA를 활용해 미국 시장에 진출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와 미국은 FTA가 체결되어 있어 우리나라가 수출자 입장이라면 한-미 FTA 원산지증명서를 작성하여 전달하면 수입자는 관세를 면제 또는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우선 수출하는 물품이 미국에서 관세율이 있는지를 파악이 최우선이며 무세(0%)라면 굳이 해당 증명서를 전달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출자 입장에서는 다소 편해집니다.다만, 관세가 있는 품목이라면 FTA 원산지증명서를 전달해야하는데 한미 FTA는 기관발급이 아닌 자율발급인 관계로 수출자가 원산지 판정을 하여 결정기준이 충족되면 권고서식에 작성 후 서명해서 마무리하면 됩니다. 따라서, 굳이 인증수출자를 받을 필요는 없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라며, 증명서 작성전에 결정기준이 충족하는지를 증빙자료 검토 및 작성(BOM 및 제조공정도, 원산지소명서 등)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관세는 수입과 수출될때 모두 과세가 되는 사항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대부분의 국가는 수출물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 않으며, 수입물품에 대해서만 관세를 부과하는 편입니다. 다만, 일부 국가들의 경우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전략적으로 산업보호 등을 이유로 수출관세를 부과하는 경우도 있지만 소수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케이스로 놓고 본다면 수출시 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부가세도 영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수입의 경우 관세 및 내국세를 납부해야하는데 관세는 FTA가 체결된 국가로부터 수입시 FTA 원산지증명서를 구비하여 협정적용을 신청하여 면제 또는 절감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