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울 아파트값이 문재인정부서 2배 상승했고, 윤석열정부때는 강남-비강남 격차가 최고치라는데 이재명정부때는 잘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문재인 정부시절에는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축을 막기위한 통화공급 및 초저금리에다가 주택 공급은 줄다보니 공급부족 심리가 퍼져, 초저금리를 이용한 대출로 아파트를 많이구입하다보니 아파트값 폭등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반면 윤석열 정부들어서는 고금리에 경제 상황악화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었으며 다주택자 규제 완화 포함 규제 완화 정책을 펴자 서울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재명 정부들어서는 금리가 인하되는 추세가 계속되는 반면 아파트 위주 공급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주택 부족으로 인한 수요 증가가 다시금 문제로 떠오르고 있어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 되었습니다. 부동산은 여러해에 걸쳐 가격이 형성되므로 정권이 교체되더라도 좀 일관적인 정책을 펼쳐 꾸준한 주택 공급이 되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Q. 경기도 소형 주택의 가격은 계속 하락하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10년간의 매매가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소형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두배이상 상승하여 같은 기간 경기도 국민평형아파트 가격 상승분 보다도 더 많으 오를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평형과 연식을 모두 포함한 서울아파트 10년 평균 상승률은 143%로 경기도의 70%를 두배 넘게 나타났으며, 특히 전용면적 59m2 인 소형아파트의 높은 매매가 상승률은 서울에만 국한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생활인프라가 잘 발달되어 있고 직업이 많은 서울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반영된 사항으로 파악됩니다. 즉, 일자리와 생활 편의성을 찾아 서울을 찾는 젊은층이 유입으로 서울에 1인가구가 증가한 반면 경기도는 수요가 늘지 않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