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장내 괴롭힘을 당해 인격귄 침해로 민사소송을 하려합니다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노동청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면 이를 근거로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증거로는 녹음파일, 증인진술, 업무용 메신저/이메일 내용, 진단서, 노동청 조사결과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의 협박과 폭언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는 점을 입증하면 위자료 청구가 가능합니다. 법원은 가해행위의 지속기간, 강도, 피해의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자료 금액을 결정합니다.다만 민사소송의 경우 원고가 피해사실을 입증해야 하므로, 괴롭힘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자료 확보가 중요합니다. 명확한 증거가 있다면 승소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Q. 교통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가 무엇인가여?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교통과태료는 과속, 신호위반 등이 단속카메라에 찍혔을 때 차량 소유주에게 부과되며 벌점은 없습니다.교통범칙금은 불법유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위반 등을 경찰이 현장에서 단속했을 때 운전자에게 부과되며 벌점이 함께 부과됩니다.핵심적인 차이는 단속카메라 적발이냐 현장 단속이냐, 그리고 벌점 부과 여부입니다.
명예훼손·모욕
Q. 모욕죄 성립 요건에 관하여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모욕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공연성, 특정성, 모욕성이 모두 충족되어야 하며,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모욕죄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게임 내 캐릭터나 닉네임만으로는 일반적으로 특정성이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게임 닉네임과 실제 인물이 명확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경우(예: 유명 스트리머의 게임 계정)에는 특정성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단순히 게임 내 닉네임만 알고 있고 실제 인물의 신상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는 특정성 요건이 충족되지 않아 모욕죄가 성립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수사기관에서는 일반적으로 무혐의 처분을 내립니다.
기타 법률상담
Q. 소송에서 패소하게 되면 패소비용은 승소측이 가져가나요?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민사소송법에 따라 소송비용은 패소한 당사자가 부담하며, 이는 승소한 당사자에게 지급됩니다. 소송비용에는 인지대, 송달료, 변호사 비용(변호사 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에 따름) 등이 포함됩니다.승소한 당사자는 본안 청구금액과 별도로 소송비용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승소 당사자는 청구한 금액을 받고, 추가로 소송 과정에서 지출한 비용도 패소 당사자로부터 보전 받을 수 있습니다.다만, 일부 승소한 경우에는 패소 비율에 따라 소송비용을 분담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