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세계약 후 확정일자 30일 안에 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네 확정일자 부여에 제한된 기간은 없습니다, 30일이전이든 이후든 본인이 받고자하는 시점에 받으시면 됩니다. 다만, 전월세신고의 경우는 계약일로부터 30일이내 하셔야 하고, 해당 신고를 하지 않으시면 과태료 처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또한 전월세신고를 하시게 되면 확정일자부여가 의제되므로 별도 확정일자는 받지 않으셔도 됩니다.결론적으로 계약일로부터 30일이내 전월세신고를 하시면 확정일자 부여는 받지 않아도 됩니다.
Q. 주전세 계약시 매도자 입장에서 특약사항 수정 및 추가사항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개인적으로 6,7번은 넣지 않는게 좋을듯 합니다. 6번의 경우는 너무 당연한 사항이고, 별도의 임대차계약서등을 통해서도 확인가능하며 법으로도 당연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7번의 경우는 매도자입장에서 불리한 조항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원래의 임대차에서는 수리, 하자보수는 원칙적으로 임대인(매수인)의 부분이고, 아무리 주전매매라고 해도 임차인의 권리는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두분이 위와 같이 합의를 하셨다면 기재를 하셔야 할 부분입니다. 그외 추가하실 부분은 없어보이나, "매매잔금 xxx원을 임차보증금으로 한다"라는 의미에 문구가 명확하게 기재되는 게 좋을듯 보입니다.
Q. 단기월세 퇴실날짜논쟁중입니다 퇴실하겠다고 통보한 날짜가 퇴실날짜로 인정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우선 임대차에서 동시이행관계로 보증금 반환과 주택인도가 있습니다. 즉, 보증금을 반환하게 되면 주택을 인도하게 되는데 이때 받은 관리키나 도어락 비번등을 넘겨준다고 볼수 있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읽어보았을때 개인적 판단으로는 퇴거를 하실 경우 보증금 반환을 요청하고 해당 반환을 받은뒤 도어락 비번등을 넘기는게 맞습니다. 이는 계약기간의 여부보다는 퇴거시에 서로간 마무리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임차인이나 관리주체인 관리소나 서로간 해야할 부분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누구의 책임이 더 큰지를 쉽게 판단하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즉 질문자님의 책임이 없다라고 말하기도 어렵고, 관리소의 말이 100%맞다라고 하기도 어려워 보입니다. 즉, 서로간 협의를 통해 조율을 하셔야 할 부분으로 보입니다.
Q. 돈 많이 버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우선 돈을 많이 버는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항으로만 답을 드려야 할듯 합니다. 직장생활의 경우 사실 전문직여부나 직장규모에 따라 소득에 차이는 있지만 그 한계는 분명한 편이기 때문에 단순히 좋은 스팩으로 좋은 기업에 들어간다고해서 돈을 무제한으로 많이 벌수 있지는 않습니다. 단, 일정한 수익으로 인해 안정적인 가계운영과 생활이 가능한 장점은 있습니다. 반대로 자영업의 경우는 벌어들일수 있는 소득에 제한이 없기에 사업이 잘될 경우 정말 많은 돈을 벌어들이게 됩니다. 다만 수익이 안정적이지 않고, 사업실패에 따른 리스크, 그리고 경제적 불확실성의 단점은 있습니다. 그외 공통으로 자금을 많이 늘릴수 있는 방법은 제태크가 있으며 보통은 투자를 통한 수익확대가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