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잘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잘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임원종 전문가
하이닥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 식단 이미지
Q.  소아 비만은 어떤 기준으로 판정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소아비만은 성인과 다른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성인은 BMI 25 이상이면 과체중, 30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지만 아이는 성장 과정에 따라서 체격과 체중 분포가 크게 달라서 연령, 성별별 성장곡선을 사용합니다.일반적으로BMI가 같은 나이와 성별 또래 아동의 85백분위수 이상이면 과체중이며 95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합니다.또한 단순히 체중만 보지않고 체지방률, 허리둘레, 성장 패턴, 가족력, 생활습관도 함께 평가합니다. 그래서 키가 크니까 괜찮다기보다는 성장곡선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소아 비만으로 진단되면 무리한 다이어트보다 균형 잡힌 식습관, 적정한 신체활동, 생활습관 교정을 우선 권합니다.아이들의 경우엔 체중을 급격히 줄이기보다는 키가 자라면서 체중 증가 속도를 조절해서 정상 체격으로 자연스럽게 돌아오는 경우도 많습니다.정리드리자면소아비만은 BMI 백분위수 95이상을 기준으로 하며 생활습관 개선 중심의 관리가 원칙입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왜 매운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매운 음식을 드시고 땀이 나는건체내의 신경반응 때문입니다.매운맛의 주성분인 캡사이신이 혀와 구강의 통증 수용체를 자극하면 우리 뇌는 이 자극을 뜨겁다라고 인식합니다. 실제로 음식이 차갑든 뜨겁든 상관없이 뇌는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서 체온을 낮추려는 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결과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땀샘이 열려서 땀을 분비하게 된답니다.또한 매운맛은 일종의 가짜 열감이기 때문에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혈류량이 증가하면서 얼굴이 달아오르면서 땀이 납니다.이런 현상을 전문적으로는 구강 발한이라고 부른답니다 얼굴, 이마, 코 주변에 땀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래서 매운음식을 드시고 땀이나는건 체온이 실제로 올라가서가 아니라 신경이 매운맛을 열로 착각해서 땀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냉면에 고춧가루를 잔뜩 넣어먹어도 아이스크림에 매운 소스를 찍어먹어도 결국 땀은 나게 되는 것입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 식단 이미지
Q.  외식할 때 살 안 찌게 메뉴 고르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외식할때는 집밥보다 칼로리와 나트륨, 기름이 많은 경우가 많아서 메뉴 선택이 정말 중요합니다.우선 조리법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튀김, 볶음, 전골보다는, 구이, 찜, 수육, 샤브샤브처럼 기름을 많이 쓰지 않는 방식이 더 좋습니다. 고기를 먹더라도 삼겹살보다는 등심, 안심, 닭가슴살, 오리훈제처럼 살코기 위주로 골라보시길 바랍니다.또한 양념이 강한 메뉴는 은근히 칼로리가 높습니다. 양념치킨이나 제육볶음보다는 간이 심하지 않은 구이나 채소가 많이 곁들여진 메뉴가 낫습니다. 국물요리는 특히 나트륨과 기름이 많아서 국물은 가급적 남기고 건더기 위주로 드셔보시길 바랍니다.밥은 흰쌀밥 대신 잡곡밥, 현미밥, 작은 공기밥을 선택하시면 혈당 변동이 덜하고 포만감이 오래갑니다 면 요리는 가급적 피하시고, 꼭 먹어야 한다면 면 절반만 먹고 채소나 단백질을 더 곁들이는 것이 좋아요.그리고 순서도 중요한데 채소 > 단백질 > 탄수화물 순을 드시면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과식을 예방합니다. 또 외식 자리에서는 대화하며 천천히 드시는 것도 포만감을 조절하는 좋은 방법이 되겠습니다.정리드리자면조리법은 담백하게, 고기는 살코기, 국물은 적게, 밥은 적당히, 채소는 듬뿍 이런식으로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어떤 날은 아침에 일어나면 얼굴이 붓고 어떤 날은 괜찮은데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질문 잘 읽어보았습니다.아침에 얼굴이 붓는건 전날 저녁에 섭취한 음식이나수면 부족이나 과로로 인한 현상일수도 있습니다.특히 나트륨이 많은 음식인 짠 음식, 라면, 찌개류를 드시면 체내 수분이 조직 사이에 머물러서 아침에 붓기가 두드러지게 된답니다. 그리고 알코올도 혈관을 확장시키고 수분 대사를 방해해서 부종을 악화시킵니다.다음은 수면 자세의 영향입니다. 평소보다 높은 베개를 쓰거나 엎드려 자면 얼굴 쪽에 체액이 모여 붓기가 심해질 수 있답니다. 반대로 적절한 높이에서 똑바로 누워서 자면 붓기가 덜합니다.체질적 요인도 있어요. 혈액순환이나 림프순환이 원활하지 않거나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은 평소에도 잘 붓습니다. 그리고 호르몬 주기, 스트레스, 수분 섭취량에 따라도 변동이 생긴답니다.따라서음식, 수면 자세와 질, 어제의 활동량, 체질 모두가 관여할 수 있고 특정 날에만 심하다면 대개 전날 식사와 과도한 염분 섭취가 가장 큰 원인이 되겠습니다.만약 붓기가 오래가거나 전신 부종으로 이어지면 신장이나 심혈관 건강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왜 같은 음식인데 집에서 먹을 때랑 밖에서 사 먹을 때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질문하신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집에서 드실때와 밖에서 사드실 때 같은 음식이 달라보이는 것이분위기 차이에다가 몇 가지 요인까지 겹쳐서 심리적으로미묘한 맛의 차이를 만들게 됩니다.몇 가지 설명 드리겠습니다.1조리법의 차이가 있습니다. 집에서는 기름 양, 불 세기, 양념 종류 비율 등을 비교적 간단하고 건강하게 조절하는 반면에 외식은 맛을 최우선으로 하기에 설탕, 소금, 조미료, 기름을 더 넉넉히 사용하게 됩니다. 같은 제육볶음이라도 집에서는 덜 달고 담백한 맛, 식당에서는 강렬하면서 자극적인 맛으로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2재료의 차이도 작용하게 된답니다. 집에 보관된 재료를 쓰는 경우가 많지만 식당은 빠르게 소진되는 신선한 재료나 대량으로 맞춰진 전용 소스를 쓰게됩니다. 특히 고기 숙성, 채소 손질 상태, 양념의 브랜드 차이가 맛에 직결된답니다.3환경과 분위기의 영향도 무시 못 합니다. 집에서는 편안하고 익숙한 공간에서 먹다보니 심리적인 긴장이 적고 맛을 차분하게 음미합니다. 반대로 외식은 주변 소리, 조명, 사람들의 대화, 음식의 플레이팅이 맛 인식에 큰 영향을 줍니다. 같은 음식도 분위기와 감각 자극이 다르면 더 맛있다거나 조금 과하다고 느껴질 수 있답니다.4기대심리도 있습니다. 돈을 내고 먹는 외식은 특별해야한다는 무의식적 기대가 있고 실제로도 MOT라고 Moment of Truth라고 진실의 순간이라는 외식 경영에서 고객이 여기저기 순간적으로 매료될만한 요소를 많이 적용합니다. 반대로 집밥은 익숙하고 편안하다라는 기준으로 평가가 됩니다.정리드리자면단순히 분위기 때문만은 아니고 조리법, 재료, 환경, 심리적인 요인이 모두 작용해서 같은 음식도 다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