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아마도신뢰할수있는삼겹살
아마도신뢰할수있는삼겹살

심야전기사용 원룸에서 평균 전기료는 얼마나 나올까요

이사 입주 전입니다

심야전기를 사용하는 10평 남짓의 원룸이구요

겨울철 전기료 폭탄에 대해 우려되네요

심야전기를 쓴다고해서 무조건 한달에 10만원 이상씩 나오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심야전기(갑)의 경우 밤10시 아침 8시 까지 적용이 되며 겨울철 103.5원/kwh, 기타계절 82.1/kwh 월 최저 20kwk

    적용을 받게 되고 낮 대비 좀 더 할인된 단가로 적용을 받게 됩니다. 또한 한달 사용한 만큼에 대해서 단가를 적용해 보시면 대략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니요. 무조건 10만원 이상의 전기세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심야 전기는 일반 전기보다 더 저렴하며 전기를 과도하게 많이 쓰지만 않는다면 원룸에서 그 정도의 전기세대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루 종일 난방을 하셔야 되는 경우 그 난방이 전기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그 정도 비용이 나올 수도 있는 것은 감안하셔야겠습니다. 결과적으로 어떤 형식의 난방을 취하느냐가 전기세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이 점 유의하셔서 난방하시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무조건 한달에 10만원 이상씩 나온다기 보다 난방 시간과 온도 조절을 잘 관리하신다면 전기료 폭탄은 막으실 수 있습니다. 원룸의 단열이 열악하거나 보일러와 온수 일체형이라면 조금 더 많이 나오실 수 있으며 입주 전 이전 세입자에게 물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심야전기 단가는 낮지만, 축열식 보일러는 전기를 많이 소비한다고 합니다

    사용량이 많아지면 요금이 많이 나오므로 사용 시간을 적절히 배분하면 효율적일수 있으니 그런 부분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심야전기를 쓴다고 무조건 한 달 전기요금이 10만 원 이상 나오는 건 아닙니다.

    사용 습관과 보일러 설정 방식에 따라 3~6만 원 선에서 충분히 관리됩니다.

    전기를 과도하게 쓸 경우 누진제로 인해 10만 원 정도 나온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심야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겨울철 난방시에 온도 설정을 높게 해놓으면 엄청난 요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한겨울에는 10만원 이상의 요금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에는 거의 요금이 나오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의 계량기는 월마다 다시 셋팅되는 게 아닌 총사용량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전 달 시점에 수치를 알아야 현수치에서 차감하여 정확한 사용량 확인이 가능합니다. 즉, 질문의 사진과 내용만 보고 전기료를 알수는 없습니다. 보통 10평대 원룸이고 에어컨이 아닌 전기장판정도의 사용으로 많은 전기료가 발생되지는 않으며, 대략적으로는 10만원보다는 크게 낮게 나올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심야전기는 기본적으로 요금이 저렴해 10만원 넘는 경우는 드물다고 봅니다.

    평균적으로는 3~6만원 수준이며 겨울철 난방을 많이 쓰면 8만원대도 가능합니다.

    전기료는 사용량과 누진 구간에 따라 달라지므로 계양기 확인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밤 11시 ~ 아침 9시에 전기 보일러 가동해서 열 저장 후 그 열로 난방 유지하는 방식이 심야전기인데

    통상 누진세로 인해 전기요금 폭탄이 나온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보일러 온도 적당하게 유지하고

    절약모드로 쭉 유지하시면, 그렇게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