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매매가 거의 되지않는다고
요즘부동산매매가 거의 되지않는다고 하는데 부동산경기는 언제쯤 좋아질까요? 지방에는 더욱 심하다고 합니다
너무걱정이네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지역은 관심들이 많아서 문의가 많이 오는데 매도자들이 가격을 올려서 거래가 안되고 있습니다
어찌됐든 부동산경기는 힘든 상황이고 지역적 차별화만 심해지고 있습니다
지방이나 소도시들은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은 지역들은 가격이 계속 떨어질수 있습니다
투자를 하실때는 감안을 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내 호재보다는 악재가 더 많은 상황이고, 전체적인 경기상황도 좋지 않기 떄문에 당장은 상승이나 가격회복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일단 작년말 터진 계엄으로 인해 정치적 불확실성도 높은 상태이고, 대출규제나 그밖에 부동산 관련정책에 대해서 결정할수 있는 주체가 공석이나 다름이 없기에 더욱 어려운 상황으로 보입니다. 일단 탄핵이 마무리되고 혹 조기대선이 치루어지고 정국이 안정화되면 금리인하의 방향성과 정책방향에 따라서 조금은 회복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에 따라 올해 상반기에는 현 상황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하반기에는 조금은 변동이 생기지 않을까 예측해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어 있는 건 사실이고, 특히 지방은 더 심각한 상황 입니다. 거래 절벽이 지속되면서 집값도 쉽게 오르지 않고, 심지어 하락하는 지역도 많이 있기는 합니다.
지금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이유는 대출이자 부담 증가로 매수세가 위축이 되어 가격이 내려도 거래가 안되고 있으며, 특히 지방은 공급 과잉 및 인구 감소로 더 힘든 상황 입니다. 규제 완화 기대는 있지만, 시장이 바로 반응하지는 않습니다.
올해부터 내년 정도에는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수 있다라는 의견들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까지 상황을 보면 수도권과 지방이 회복속도는 차이가 있을 것 같다라는 의견 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규제등으로 아예 부동산 거래가 실종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의 집값안정 및 가계대출 관리라는 명목하에 대출규제가 심하고 또한 금리가 높다 보니 매도 매물만 쌓이고
매수세가 거의 없습니다. 설상가상 하반기 스트레스 DSR3단계가 시행이 되면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부동산 경기는 금리인하, 정부의 규제 완화, 특히 대출 완화가 되어야 조금씩 바닥을 치고 반등을 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는 현재 경제 상황이 회복 되어야 정상화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정부의 금리인하, 가계대출 제한 완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다시 상승흐름을 보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엄정국의 불안한 정국에서 부동산 경기도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25년도 하반기 정국이 안정되면 투자의욕이 살아나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봅니다
그리고 기준금리가 하락하는 시기에 26년도 공급물량이 급감하므로 상반기경에는 잠재적 수요층의 증가로 부동산 경가도 살아날 것으로 추정돱니다
요즘부동산매매가 거의 되지않는다고 하는데 부동산경기는 언제쯤 좋아질까요? 지방에는 더욱 심하다고 합니다
너무걱정이네요.
==> 현재 부동산 거래는 뜸한 편이지만 탄핵정국이 마무리되는 후반기부터는 부동산 경기가 부분적으로 회복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고 지방인 경우 올하반기 늦게 부터 회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습니다. 서울 일부 지역만 상승을 하고 있고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합 내지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인구의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서울 및 수도권 핵심지역 중심으로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방의 부동산 시장도 광역시 핵심지역으로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동산 시장도 초양극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네 맞습니다. 서울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심각합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은 25년도는 하락세 지속할것같고 26년 하반기에서 27년도에 변곡점이 있을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