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숩숩숩
숩숩숩

우리나라에서의 중산층기준은 어떻게 잡을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 살면서 중산층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

중산층이 되려면 혹은 중산층으로 인정되는건

월 소득혹은 연소득이나 집같은 부동산등의 재산이 얼마정도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할 수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중산층 가구는 가구 소득이 전체 가구의 중위소득의 50%에서 150%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위 소득 연간 4,000만원인 경우, 중산층의 소득 범위는 연간 2,000만원에서 6,000만원 사이로 설정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이 되려면 혹은 중산층으로 인정되는건

    월 소득혹은 연소득이나 집같은 부동산등의 재산이 얼마정도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할 수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한국의 중산층 기준은 소득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평균적으로 한국 중산층 기준의 월급은 624만원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순 자산은 6.3억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이란 단순히 경제적 기준을 넘어 사회적 책임과 문화적 소양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 진화 하고 있다고 합니다

    OECD 중위소득의 75~200%을 중산층으로 분류했는데 이기준을 2024년 한국에 적용하면 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5,729,913원을 기준으로 중산층으로 보고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중위소득의 50이상 ~ 150%미만을 중산층으로 볼수 있습니다.

    1인가구일 경우 월소득 대략 111~334만원 사이이고,

    2인가구일 경우 월소득 대략 184~552만원 사이이고,

    3인가구일 경우 월소득 대략 237~707만원 사이이고,

    4인가구일 경우 월소득 대략 286~859만원 사이이고,

    5인가구일 경우 월소득 대략 334~1071만원 사이이면 중산층이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OECD에서 중산층 기준을 중위소득 75~200%정하였기에 이에 따른 소득기준으로 보면 1인가구는 167만~444만원 , 2인가구 276만원~726만원이며, 자산의 경우는 순자산 기준 5억2천정도가 평균이라고 합니다. 다만 연구조사결과에 소득 상위 10%인 사람 중 97.1%는 본인이 상류층이 아닌 중산층이라고 생각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즉, OECD기준과 심리적 판단에는 차이가 있는 듯 하고 각 나라마다 이러한 기준외에 사회내에 통영되는 중상층 기준이 조금씩 다르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정의는 없으나 보통 중산층은 중위소득을기준으로 75~200% 이내를 말하며 1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222만원. 여기서 75~200%인 구간 167만원~444만원은 중산층이 됩니다. 2인가구의 중위소득은 368만원. 여기서 75~200%인 구간 276만원~726만원이 중산층입니다.

    우리나라가 계속해서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타 다른 나라보다는 빈부격차가 아직 까지는 심한편은 아닙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10억원대의 아파트는 중산층사람들이 거주를 하고 있으며, 정말 유명한 아파트들이나 비싼 동네에 거주하는 분들은 스스로 중산층이라 할 순 있지만 실제로는 최상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의 정확한 정의는 없습니다만 유추해본다면 중위소득정도라면 중산층이라 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1. 소득 기준: 한국의 중산층은 대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50%에서 150% 사이에 해당하는 가구로 정의됩니다. 2023년 기준으로 중위소득은 약 5,000만 원 정도로, 중산층 가구는 연소득 2,500만 원에서 7,500만 원 사이로 볼 수 있습니다.

    2. 자산 기준: 중산층은 보통 주택 소유 여부와 자산 규모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됩니다.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며, 부동산 자산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중산층으로 인정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5억 원 이상의 주택을 소유하면 중산층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3. 생활 수준: 중산층은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교육비, 의료비, 여가비 등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중산층을 정의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득과 자산을 기준으로 합니다.

    소득기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중위소득의 75%에서 200% 사이를 중산층으로 정의합니다. 2023년 기준으로 4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월 540만 원 정도입니다. 따라서 중산층의 소득 범위는 월 405만 원에서 1,080만 원 사이입니다.

    자산 기준은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중산층의 순자산은 약 9억 4천만 원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자산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소비 기준은 중산층 가구의 월 소비 규모는 약 427만 원으로, 이는 소득 상위 9.4% 수준입니다.

    이 외에도 중산층의 기준은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중산층 응답자들은 월 소득이 686만 원 정도는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