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과 재건축이 틀린 말인가요? 아니면 같은 뜻인건가요?
아파트 재개발이나 재건축이 같은 사업인건가요? 아니면 재개발 사업이 따로 있고, 재건축 사업이 따로 있는건가요? 위 두가지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알고싶네요.
재개발은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된 지역을 지정해서 정부에서 하는 사업이고 재건축은 30년이상된 노후된아파트나 빌라들을 개인들이 조합을 설립해서 인허가를 받아서 사업을 진행 하는것입니다
차이점은 공공개발이냐 아니냐로 구분하시면 쉽습니다
아주 쉽게 표현하자면 재개발은 그 지역 전체의 노후화 된 인프라 및 주택등 전체를 재개발하는 것이고,
재건축은 오래된 아파트가 있다면 그 아파트가 노후화가 심해서 다시 철거하고 다시 짓는 형태를
재건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재개발은 단독주택이나 빌라등 야러 필지를 하나로 묶어서 하는것입니다
도로나 기반시설까지 다시 만듭니다.
재건축은 대체로 오래된 아파트를 다시 짓는것입니다.
도로등 기반시설은 그대로 두고 건물만 다시 짓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재건축과 재개발은 다른 개념입니다. 정비사업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세부적인 사항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재개발은 주거기능 뿐아니라 정비기반시설까지 새로 개발하는 방식으로 쉽게 신도시 개발이나 노후지역단위 개발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공성격이 강한 만큼 절차나 규제등이 좀더 까다롭다 보시면 됩니다, 이와 다르게 재건축은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여 주거기능에 대해서만 개발을 하는 방식으로 쉽게 아파트재건축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공공보다는 민간부분의성격이 가능하기 떄문에 사업진행시 절차나 규제가 재개발에 비해서는 덜 까다롭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재개발 : 기반시설 부족 + 건축물이 노후된 지역
재견축 : 기반시설부족하지 않지만 시설이 노후한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재건축과 재개발은 틀린말은 아니고 다릅니다.
재건축은 인프라가 어느정도 구성된 곳에 사적으로 건축을 하는 것이고 재개발은 인프라가 모두 낙후되거나 잘 갖춰지지 않은 곳에 공적인 개발을 하는 것입니다.
재개발과 재건축은 다른 사업 입니다.
이 사업들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규정되어 있는데, 주거환경개선사업 -> 재개발사업 -> 재건축사업 순으로 극히열악 -> 열악 -> 양호 한 정비기반시설을 갖춘곳을 정비하거나 주택 등 건축물을 개량 또는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공통점은 주거환경을 정비하여 개선하는 것이고, 차이점은 재개발사업이 정비기반시설 자체가 열악한 곳의 주거환경이나 상업.공업지역 도시기능 회복 및 상권활성화 등 다양한 건물들이 모여있는 곳을 정비하는데 반해서 재건축사업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밀집한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라는 것입니다.
재건축은 기존의 노후화된 건물을 철거하고 같은 대지에 새로운 건물을 지어 기능, 안전, 편의성 등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주로 기반 시설이 양호한 지역에서 이루어지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주요 대상입니다.
재개발은 노후 불량 건축물이 밀집해 있는 지역의 전체적인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건물뿐만 아니라 도로, 상하수도, 공원 등의 기반 시설을 포함하여 새롭게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이는 기반 시설이 열악한 지역에서 주로 진행되며,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빌라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두 사업의 공통점은 노후화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주택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재건축이 기존 건물의 세대원들의 협의로 주도되는 반면, 재개발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진행되며, 도시 전체의 환경과 인프라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