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로또 청약은 여전히 인기가 좋은가 보네요...

수원시 영통구의 아이파크 캐슬 3단지 무순위청약에 또 다시 사람들이 몰렸네요..

실제 1억원 이상의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던데..

이런 로또 청약들이 여전히 인기가 좋은 듯 합니다.

부동산 시장이 죽었다 죽었다 해도 인기있는 지역은 여전한가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로또 청약은 지역에 따른 인기보다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에 따른 낮은 분양가와 주변 높은 시세에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즉, 분양가상한제가 가져오는 하나의 문제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전 동탄 롯데캐슬 무순위청약도 사실상 주변시세와 분양가간 시세차익으로 인해 엄청난 청약이 몰리게 되면서 무순위 청약이 이틀간 진행되었던 적도 있습니다, 결국에는 주택안정화를 위해 시행한 분양가상한제가 예기치않은 투기조장을 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 부분이고 현 정부에서도 이러한 분양가상한제의 단점들을 인식하여 분양가상한제 적용시 분양가 산정기준을 변경하여 현행보다 높은 분양가로 조정하거나, 초과이익환수제등을 확대적용해서 로또 청약에 따른 투기증가등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세 차익이 큰 지역은 여전히 경쟁률이 높습니다. 무순위 청약도 수익 기대감으로 인기가 큽니다. 부동산 침체기에도 특정지역은 예외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무순위 줍줍의 경우 예전에 분양을 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시세차익이 발생이 되었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기대를 할 수 있는 것이고 현재 서울 수요가 몰리는 인기지역을 제외하고는 부동산 경기가 어렵습니다.

    대출 규제로 인해서 수요가 억제가 되자 주춤하는 모양새고 무순위 줍줍의 경우 부동산 경기가 크게 상관없이 형성이 되는 프리미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로또 청약은 지금도 여전히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심지어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라고 해도, 입지 좋고 시세차익이 확실한 단지는 사람들의 관심이 줄지 않습니다

    이는 여전히 청약 제도가 투자로 활용되고 있다는 단면이고,

    정부의 분양가 정책, 청약제도 개편에도 불구하고 기회의 사다리보다는 투자의 수단이 되고 있다는 비판도 함께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당연합니다.

    꽁으로 1억 먹고 시작하는데

    상승장이든 하락장이든 상관없이 수천 수만명 사람이 몰립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입지가 생명입니다.

    위 아파트는 1억이라는 수익이 생기므로 경쟁률이 높았습니다. 입지가 괜찮은 지역이라 사람들이 많이 몰렸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도 금리가 높은 편이고 수도권은 대출 규제에 지방은 양극화영향으로 투자심리가 위축이 되는 등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주택의 구매를 원하는 사람은 여전히 많으며, 특히 수도권 주요지역의 주택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로또 청약이 나오면 높은 청약 경쟁률을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과 같이 신축 인기지역 청약 특히 시세 차익이 크게 예상이 되는 무순위 로또 청약은 부동산 시장 전반적으로는 침체 신호가 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뜨겁고 이러한 현상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줄서기 청약 열기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로또 청약은 청약울 마검했거나 미준양아파트에대하여 지역별 청약 통장의 제란엊ㅅ이 서인이면 누구나 청약신청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당첨만 되면 시세차이로 많은 수익을 얻기 때문에 경쟁율이 높아 로또청약이라고 합니다

    이는 부동산시장이 상승 추세라기보다는 일시적 현상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