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찐찐이들맘
찐찐이들맘

국내 부동산 다시 압구정과 반포, 잠실이 신고가 나오는 것 같은데 상승인가요?

미국도 기준금리 50bp나 내리고 나라는 금융투자과세나 한다고 하지 한 채만 보유하는 이상한 정책 만들어서 상급지 위주로 상승만 몰리고 있는데 다시 압구정과 반포, 잠실이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고 하네요.

이제 다시 상승으로 봐야할 것 같은데 정부 및 정치권 모두 답답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핵심 입지 중심으로 상승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하와 한국의 금리인하 예상이 겹쳐 발생된 상승이라 생각되는데 앞으로 이 같은 상승이 지속되는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도 기준금리 50bp나 내리고 나라는 금융투자과세나 한다고 하지 한 채만 보유하는 이상한 정책 만들어서 상급지 위주로 상승만 몰리고 있는데 다시 압구정과 반포, 잠실이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고 하네요.

    이제 다시 상승으로 봐야할 것 같은데 정부 및 정치권 모두 답답하네요.

    ==> 우선적으로 서울지역도 특정지역, 강남 3구, 마용성 지역별로 신고가가 새롭게 갱신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공급이 부족하고, 기준시가가 낮아지는 만큼 부동산 가격이 폭동할 것으로 예상되어 선호 지역 위주로 먼저 반응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의 1주택보유정책은 대출을 통해 부동산

    구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이며

    현금을 보유하여 부동산을 구입하는 사람들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현 부동산보유자들은 저금리로 대출금리가 하락

    했으니 이자부담이 적어져 매각할 이유가 없고

    현금 보유가 풍부한 자산가들의 부동산을 구입

    하여 일부지역의 가격은 상승할 순 있겠지만

    상승폭은 제한적일 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번정부가 들어선 이후 집값이 떨어지고 건축업체들의 경영상태가 악화하자 다주택자들에 대한 제재를 좀 풀고, 출산률이 문제된다니 정책대출을 풀고 DSR규제를 미루다보니, 갑자기 주택 매매가 증가하고 집값이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정부에서는 이렇게 되자 부랴부랴 대출 금리를 올리고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전세가상승, 건설사의 분양가 상승, 금리인하 기대감 등이 겹친데다 당장 집을 공급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서울의 인기지역 외에서는 당분간 규제 강화에 대한 영향이 있을 수 있겠지만 계속해서 고금리를 유지하기는 힘들기에 향후 집값 상승은 어쩔 수 없는 수순인것 같습니다. 다만, 지방에서는 아직도 미분양 물량이 많고 상대적으로 수요도 적어서 앞으로 특별한 정책이나 경제상황의 변화가 없는한 서울과 지방의 차별화는 계속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이러한 지역은 수요가 꾸준히 높은 곳으로, 한정된 공급과 함께 부동산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금리 인하와 같은 통화 정책은 대출 이자 부담을 줄여주어 주택 구매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 단행이 있더라도 현재 한국내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예측은 상승보다는 보합세를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부동산도 이전보다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이기 떄문에 고가주택이자 똘똘한 한채가 모여있는 강남권과 용산, 마포등에서는 부동산 방향과 관계없이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해당 지역내 주택가격상승이 부동산 시장 전반의 상승세로써 예상하기는 어려운게 사실이고, 오히려 대출규제로 인해 부동산 회복세가 꺾을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의 빅컷(0.5%) 금리인하로 우리나라또한 금리인하는 기정 사실인듯합니다.

    미국은 올해 2~3차례 더 금리인하를 단행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또한 이러한 영향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우리나라또한 금리인하를 단행 하게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금리가 인하가 되면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이러한 유동 자금이 부동산으로 흘러가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을 하는 효과가 있는데 정부에서는 집값안정과 가계대출상승을 막기 위해서 대출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주택 과세를 중과하여 똘똘한 한채만 폭등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부동산의 골고루적인 안정화를 위해서는 부동산시장에 정부개입을 최소화하고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맞게

    잘 조절을 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대출 규제는 단기적인 효과만 있을뿐 금리가 낮아지면 부동산 상승은

    어차피 오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은 기준금리가 내렸지만 우리나라는 선반영을 해서 오히려 금리가 조금 올랐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대출한도를 줄이고 있어서 지금은 주춤한 상태입니다

    여기서 금리가 내리면 또 상급지로 매수자가 더 늘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변화가 올지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