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50 을 3000/50 에 되냐고 물어보는건 좀 야니겟죠?
집 알아보고 있는데 5000/50 집을
보증금 3000/ 50만원 되냐고 물어보는 건 좀 예의가 아니겠죠? 당연히 월세를 올리겠죠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예의가 아닌 정도는 아니구요. 뭐.. 보증금이 모자라면 물어볼 수도 있죠. 하지만, 이전 세입자가 있다면 내줘야 할 돈이 있기 때문에 보증금을 그렇게 많이 깎을 수는 없을거에요.
간혹가다가 다른 이유로 보증금을 좀 적게 받으시는 집주인들도 계신데요, 하지만, 못물어볼 정도는 아니지만 당연히 거절당할 거라고 생각을 하셔야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계약의 경우 임대인과 협의를 하기 나름이고 5000/50만원 시세가 유지된다고 가정을 하게 될 경우 보증금을 3000만원으로 낮추게 되면 월세는 575,000원 정도 측정이 됩니다. 임대인과 협의 사항으로 보여 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뭐 임대인의 따라서 될수도 있지요, 물론 쉽지는 않을듯 보입니다. 해당 주택이 오랜기간 공실이였다면 임대인입장에서는 해당 제안에 고민을 해보겠으나, 임대차가 수월한 매물이라면 당연히 거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나 제안하는 것이 결국은 보증금을 낮추어달라는 말이기 떄문에 임대인에게 바로 전달하기 보다는 부동산에 우선적으로 가능여부를 한번정도 문의하신뒤에 조정을 요청하시는것도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세보다 월등히 높게 올라온 매물이면 보증금만 감액해달라 요구하셔도 됩니다만
시세에 맞으면, 보통 1000만원당 5만원 계산해서 올라갑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 2천만 원을 감액에 동의하는 임대인은 많이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를 조금 올려 협상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가격이 조정되는지는 물어볼수 있습니다
안될수도 있지만 잘안나가는 시기에는 조정이 될수도 있습니다
부동산에 부탁해보고 조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셋집에 대한 계약을 협의할 때 금액에 대한 협의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구하는 차이가 너무크다면 거래가 성립되기 어려울 것인데, 처음에 차이를 좀 크게 요구했다가 줄이면서 협상하는 것도 협상의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