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금 5프로를 월세로 올리면 얼마인가요.
지금 전세 2억에 살고있는데여. 집주인이 계약갱신청구권 써서 5프로 올려서 재계약하자는데여. 5프로를 보증금 대신 월세로 올린다던대여. 5프로를 월세로 올리면 기존 전세보증금 2억에 월세는 얼마 줘야하나요. 5프로를 전세보증금으로 올리면 2억1천만원인데여. 보증금 2억그대로하고. 계약갱신청구권 5프로를 월세로 올리면 한 4만원하나요.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질문자님이 계산하신 것과 비슷하게 3만 3천원 정도 월세가 발생하겠습니다.
집주인이 말씀하는 5% 월세로 라는 말은 보증금 유지하고 월세를 3-4만원 정도 받겠다는 말이지요.
만약 보증금 1000 만원이 문제가 되는 경우 그냥 3만원 매달 주는게 나을 수도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계약 사항이므로 임대인과 임차인간에 상의하여 합의가 되어야 합니다.
보증금 월세 전환 관련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제9조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을 적용해보면;
(1) 대출금리와 경제여건 등을 고려한 대통령이 정하는 비율 연10%
(2) 한국은행이 공시한 기준금리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율을 더한 비율 2.5% + 2.0% = 4.5%
(1), (2)중 낮은 비율을 적용하므로 주택의 전월세 전환율은 연4.5%
1년치 보증금 인상분 = ((보증금 x 1.05) – 보증금) x 4.5% (보증금 인상분을 월차임으로 전환) = 45만원
보증금 인상분을 12개월로 나누면 월세는 37,500원이 됩니다.
전월세 전환율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가 있으며 임대인과 임차인간 협의가 되어야 합니다.
지금 전세 2억에 살고있는데여. 집주인이 계약갱신청구권 써서 5프로 올려서 재계약하자는데여. 5프로를 보증금 대신 월세로 올린다던대여. 5프로를 월세로 올리면 기존 전세보증금 2억에 월세는 얼마 줘야하나요. 5프로를 전세보증금으로 올리면 2억1천만원인데여. 보증금 2억그대로하고. 계약갱신청구권 5프로를 월세로 올리면 한 4만원
==> 렌트홈 계산기로 산정한다면 37,500원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이 경우 전세에서 반전세로 전환이 되는 듯 보입니다. 일단 현 전세보증금 2억에 대해서 5%인상은 1000만원이되고 해당 1000만원에 대해서 전월세전환률(현 기준 4.5% - 지역에 따라 이보다 낮을수는 있음) 4.5%을 적용하면 45만원이 되고 이를 12개월로 나누면 월37,500원을 부담하시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2억 -> 5%인상 -> 2억 / 월 37,500원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시 임대료 증액 한도는 5%이고,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의 최대 전환율은 2024년 기준 연 6%입니다. (정해진 기준이 있음)
전세보증금 2억에서 5% → 1,000만 원
이 1,000만 원을 월세로 바꿔야 하므로,
월세 = 1,000만 원 × (6% ÷ 12개월)
월세 = 1,000만 원 × 0.005 = 5만 원
보증금은 그대로 2억 원 유지하고,
월세는 5만 원 추가로 내시면 되는데 협의로 조정은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렌트홈 기준 천만원에 대한 월세 증액분은 2.9만원 입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기존 전세보증금을 2억 원을 그대로 유지하고 5% 인상 분을 월세로 전환한다면 매달 약 3만 원정도의 월세를 부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보증금 5% 인상 분을 월세로 전환하는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겠어요 집주인 분께서 계약 갱신 청구 권을 사용하시면서 보증금 대신 월세로 전환을 제안하신 상황입니다. 이 경우 월세가 얼마가 될 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월 세 전환 율 이란?
전월 세 전환 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월세를 전세 보증금으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이 비율에 따라 보증금의 일부 또는 전부 월세로 환산하게 됩니다.
법정 전월 세 전환 율 상한 :
주택 임대차 보호 법 시행령 제9조에 따르면,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이율은 한국은행 기준금리에 2%를 더한 비율과 연 10%중 낮은 비율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예시 :3.5%)를 적용하면 3.5%+2%=5.5%
따라서 현재 법정 전월 세 전환 율 의 상한 은 연 5.5% 입니다.
월세 전환 금액 계산 :
본인의 경우, 현재 전세 보증금 2억원에서 5%를 인상하는 것이므로, 증액되는 금액은 1천만 원입니다. 이 1천만 원을 월세로 전환하는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액되는 보증금 : 2억원 x 5%= 1천만원
이 1천만 원을 월세로 전환할 때, 법정 상한 인 연 5.5%룰 적용하면:
연 월세 : 1천만 원 x 12개월=약 45,833원
본인의 예상 금액에 대하여 본인이 월세 4만원 정도를 예상하였는데, 이는 연 48만 원에 해당합니다. 1천만 원에 대한 전환 율로 보면 약 4.8% 정도가 됩니다. 이는 법정 상 한인 5.5%보다 낮은 수준이므로, 집주인 분과의 협의에 따라 충분히 가능한 금액입니다.
실제 전 월세 전환 율 은 지역 별, 주택 유형 별, 그리고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집주인과 세입 자 간의 협의가 가장 중요합니다.
추가 정보 및 활용 가능한 도구 :
더 정확한 계산이나 다양한 시나리오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와 같은 온라인 전 월세 전환 율 계산기를 활용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부동산계산기.com 전월 세 전환 율 계산기
핀다 전세 vs 월세 계산기
부동산 114 전월 세 전환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