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연봉이나 재산이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에서도 어느정도 경제력이 있는 나라인것 같은데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려면 연봉과 재산은 얼마나 있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의 기준을 어떤것을 하느냐에 따라 판단이 달라집니다. OECD기준에 따르면 가구원 소득기준이 전체 중위소득 75%~200%까지에 해당되면 중산층에 속하게 되고 우리나라 50%이상이 중산층에 속하게 됩니다. 다만 , 사람들이 느끼는 중산층의 기준과는 차이가 있으며, 직장인들 설문조사를 통해 중산층이라고 볼수 있는 기준을 조사한 것에 따르면 부채없는 아파트 30평이상 소유, 월급여 500만원이상, 자동차는 2000CC 이상, 예금잔고 1억원이상, 해외여행 1년 한차례 다닐수 있는 사람이 중산층이라고 판단하였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이라하면 사회경제적 중간게층레 속하는 게층을 말합니다
우라나라는 정부 통게청에 자료에 의하면 전국의 소득수준의 정 중앙치를 100으로 하여 +50과 -50의 구간에 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국 가구수에서 소득수준
구간이 50ㅡ150% 를 말합니다
2024년도 4인가구 기준으로 월 평균소득이 5백20십만원 정도를 기준선으로 분석합니다
따라서 260만원에서 780만원 사이의 소득 수준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저소득층은 260만원 이하이며고소득층은 780만원 이상이되겠지요
참고 바랍니다
1명 평가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에서도 어느정도 경제력이 있는 나라인것 같은데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려면 연봉과 재산은 얼마나 있어야 하나요
==> 연봉기준은 한국 전체가구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봤을 때 50-150%수준 가구를 의미하는데 23년 4인가구의 중위소득은 약 550만원/월이니 중산층은 월소득 약 275만원에서 825만원 사이입니다. 자산총액기준은 2-5억원 사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통계청 기준 가구 중위소득 50~150% 범위를 중산층으로 보고
3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약 600만원 / 연 7,200만원 수준입니다.
개인 기준으로 환산하면 연봉 약 3천~7천 정도를 중산층 소득으로 보고
4인 가구 기준은 가구 연소득 6~8천 선입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연봉기준으로 통계청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 연 7천만원 이상 가구를 중산층으로 봅니다. 자산 기준으로는 부동산 포함 순 자산가액이 약 3~7억원 사이면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년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은 월 610만원 (연7,320만원) 내외입니다.
월 457만원~12220만원 연봉으로는 약 5480만원~1억4650원 정도가 중산층 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국민들이 "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월 소득선은 4인가구 기준 약 686만원 연봉 8200만원 가량이라고 합니다.
순자산(재산) 기준은 약 5억~9억원대 이며 냉정하게 봤을때 3억~5억원대도 실질적 중산층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통계청이나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월 중위소득 연 소득
1인 가구 약 210만원 약 2,520만원
2인 가구 약 350만원 약 4,200만원
3인 가구 약 450만원 약 5,400만원
4인 가구 약 540만원 약 6,480만원
즉, 4인 가구 기준으로 중산층이라면 연 소득이 대략 3,240만~9,720만 원 사이면 중산층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개인 연봉 기준으로 4천만~7천만 원 사이를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중산층의 재산 수준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지만, 한국의 가구 평균 순자산(부채 제외)은 약 5억 원 내외입니다
중산층이라면 보통 다음 수준을 가정합니다
서울 거주 중산층 가구: 순자산 약 4~10억 원
아파트 1채 보유 (대출 포함)
금융자산 + 연금 일부 보유
지방 거주 중산층 가구: 순자산 약 2~6억 원
집값이 낮기 때문에 자산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언론에 발표된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이 나왔는데 소득의 경우 월 500~700만원, 수도권 전세 또는 10~20년 아파트 보유, 국산 중형차, 월 100~300만원 사교육비, 1년 1~2번 국내외 여행 등이 가능한 가정이 중산층 가정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이라는 말은 연봉으로만 정의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닙니다. 그래서 통계청이나 한국은행 등에서도 공식적으로 소득기준으로 분류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중위소득의 50%~150% 정도 사이를 굳이 꼽자면 중산층이라고 볼수 있겠네요.
그 기준에 따르면 2025년도 기준 중산층 연봉 기준으로 연봉은 대략 7,000 만원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이것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아마도 부부가 모두 일을 하는 경우에 세대 연봉을 합한 것으로 봅니다.
소득은 이정도 되고, 자산을 살펴 보겠습니다. 자산은 대체로 10억을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10억이면 분당 정도에 아파트를 대출없이 자가소유한 경우라고 볼수 있겠네요.
하지만, 서두에도 말씀드렸다 시피 중산층은 소득만으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유럽의 예를 보면 중산층을 단순히 소득으로 구분하지 않고 사회적 지위와 삶의 질까지 포함한 계층 개념으로 정의 합니다.
유럽의 어떤 이는 중산층을 정의할 때 , "악기를 하나이상 다룰 줄알며, 좋아하는 요리 하나쯤은 능숙하게 만들 줄 알면서, 항상 읽는 책이 있고, 주말엔 여유롭게 산책을 하거나 음악회를 가는 삶" 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중산층 개념을 너무 연봉으로만 판단하는 것 같은데요. 제가 보기엔 쉬는 시간 없이 자신도 돌보지 못한 채 억대 연봉을 받는 다면 그것은 중산층이 아니라 돈 많이 버는 노예입니다.
시민의식이 더 바뀌고, 조금더 복지가 좋아져서 삶의 밸런스를 찾을 줄 아는 시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에서 중산층이라고 조사된 자료를 확인해 보면 4인 가구 기준 월소득 450만~1200만원으로 개인 연봉 4000-8500만원으로 순자산 3-5억원 전후에서 형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한국 중산층 경제력은 평균이상으로 OECD 중상위권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보고서를 보면 중위소득 50% ~ 150% 사이의 가구를 중산층이라 부릅니다.
중위소득 100%는 약 5,400,000원이며 중산층 범위는 2,700,000 ~ 8,100,000원으로 연소득 3,200만 원 ~ 9,700만 원 사이가 되겠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중에서 중산층은 더 높은 기준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에서 일반적으로 중산층 같다고 인식되는 조건은 연소득 7천, 순자산 6~10억 사이, 수도권 아파트 보유, 국산 중형 또는 수입차 중형 정도는 되야 중간층이라 느끼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