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공급은 계속 늘어나는데 주택 보유자 숫자는 감소

주택보유자 수가 해마다 줄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해마다 주택 공급은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주택 보유자 숫자는 감소하는 이유는 뭘까요?

다주택자들이 더 많아진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공급은 늘어도 개인 보유자는 줄고 있습니다. 다주택자 집중, 청년 무주택자의 주거비 부담 증가, 법인 임대사업자 보유 확대 등이 원인입니다. 즉, 공급이 늘어도 보유의 양극화 심화라 봅니다.

  • 주택보유자 수가 해마다 줄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해마다 주택 공급은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주택 보유자 숫자는 감소하는 이유는 뭘까요?

    다주택자들이 더 많아진 것인가요?

    ==> 네 그렇게 해석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단순하게 보면 주택수는 늘어나는데, 주택보유자는 줄어든다는 것은 다주택자가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공급되는 주택의 상당수가 무주택자가 구매하여 보유하는 구조가 아닌 이미 주택을 가진 자금력이 있는 사람이 추가주택을 구매한다는 것으로 그만큼 계층간 소득 및 자산 격차가 벌어져 있고, 향후 더 크게 부의 불균형이 나타날수 있다는 예상이 가능할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가장 안좋은 시장형태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수 있고 이러한 통계치가 늘어날 경우 정부에서는 부동산에 대한 강력한 규제 특히 다주택자 중과세등의 규제정책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전국에 무주택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부동산 투자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을 하게 되자 주거비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서 전월세로 거주를 선택을 하게 되면서 무주택자가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그 만큼 부동산 투자 수요 즉 1주택자든 다주택자들이 늘어난 양극화 현상으로 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통계청기준 주택소유자수는 2012년 1203만명에서 2015년 1304만명, 2020년 1469만명, 2023년 1561만명 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다주택자들이 소폭 늘어나고는 있지만 그에비해 비혼, 만혼, 이혼, 사별 등으로 1인 가구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정확히는 고령의 주택소유자 사망으로 빈 집이 많아지고 있는 겁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부족현상은 유독 서울지역 및 수도권이 심한것 같 습니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 때문에 서울로 몰리는 인구 이동 현상 그 원인이라고 봅니다

    아무리 주택공급율을 높이더라도 유입인수가 증거된다면 당연히 주택보급율은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권역별 지방 발전을 위한 과감한 국가예산이 투압되어 양질의 일자리를 청출하여야 하겠지요

    그리고 획기적인 대기업의 지방이전에 대한 인션티브로 세제지원으로 지방경제 활성화룰 모색하지 않는다면 해결 방안은 요원하다고 봅니다

    참고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공급은 늘어나는데 주택 보유자 수는 줄고 있지만 다주택자 비중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다주택자가 늘어나고 있어 주택이 더 집중되고 있으며 소수의 사람이 더 많은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구조로 바뀌고 있습니다.

    주택 공급이 늘어난다 하더라도 이를 실수요자가 아닌 기존 다주택자가 매입하면 보유자 수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 중 하나가 다주택자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은 늘어나고 있지만 그 집들을 소수의 자산가, 법인, 다주택자들이 더 많이 갖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전체 보유자 수는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산 양극화, 주거 사다리 단절, 전세 불안정 같은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어 정책적으로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과 같이 주택의 공급은 해마다 꾸준하게 늘어가고 있지만 주택이 다수 개인에게 고루 배분이 되지 않고 다주택자 투자자에게 더 많이 몰리는 구조로 주택 보유자 숫자가 해마다 줄어드는 가장 큰 원인입니다.
    만약 실거주 목적의 1가구 1주택이 일반화 된다면 주택 공급과 보유자 수가 더 비슷하게 움직일 있겠지만 최근 부동산 시장은 그 반대로의 움직임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