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물건이 많이 없어지고 있는데 전세가격은 오르고 있는 건가요?
대출이 막히고, 전세 물건도 많이 줄어들게 되면,,,
전세 가격을 낮춰서라도 전세 세입자를 구하게 되는거 아닌가요?
그런데 오히려 세입자들의 부담이 더 늘었다고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건 감소로 공급이 부족해지면 수요가 일정할 경우 가격은 상승하는 공급 수요 법칙이 작동합니다.
특히 대출 규제로 매매전환이 어려운 세입자가 전세 수요를 유지하면 가격 하방 압력이 약해집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주택구매시 대출규제가 강화되면 주택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기존 임대차를 유지하게 되면서 공급물량이 늘어나지 못하고, 갭투자가 어려워지면서 전세물량의 공급도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전세매물의 감소와 수요는 증가하는 되므로 결국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전세시세가 상승하고 세입자의 부담은 늘어나게 됩니다.
대출이 막히고, 전세 물건도 많이 줄어들게 되면,,,
전세 가격을 낮춰서라도 전세 세입자를 구하게 되는거 아닌가요?
==> 네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전세 시장도 공급 물량 및 수요량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히려 세입자들의 부담이 더 늘었다고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 이 부분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를 분석을 해야 하는 사항이고 현재 상황 만을 가지고 판단이 불가합니다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수도권 및 서울권 중심으로 십규 입주 물량이 크게 줄고 기존 세입자들이 임대차 3법 (계약갱신 청구권)등으로 2년 더 거주하면서 새로운 전세 매물이 계속 줄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대출 규제로 인해 전세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강화된 상황입니다.
그런상황이라 현재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고 있으며 전세 대출이 막히면서 금리도 높아져 대출이자 부담까지 커지고 있습니다.
매물이 줄어들면 가격이 내리는게 정상이 아닐까라고 생각하지만 수요는 많지만 현재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가격상승 압력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이 축소되고 제한되면 전세가격을 낮추게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월세로 전환하거나 매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세물량이 축소되어 오히려 전세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물건이 줄어드는 이유는 집값이 떨어지거나 불확실성이 커지면 집주인이 집을 팔거나 내놓는 걸 꺼려할 수 있습니다.
전세 보증금 대출이 막히면 집주인들은 월세로 전환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월세는 꾸준한 수입원이 되기 때문입니다.
신규 아파트나 주택이 줄면서 전세 매물 자체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전세 매물이 줄면 경쟁이 치열해지고 집주인이 전세금을 쉽게 올려 부를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도 세입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따라서 세입자의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급이 부족해서 전세 매물이 줄어들고 있고 수도권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물건 부족, 월세 전환 증가로 선택지가 줄어서 세입자들의 부담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
집주인들 역시 가격을 낮추기도 하고 전세에서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 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힘든 시기 인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6.27 대출 규제로 인해서 소유권이전부 대출이 막히고, 또한 전세보증금반환용 대출이 1억 한도로 묶이게 되자 임대인 뿐만 아니라 임차인들은 전세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되고 월세나 임대인이 직접 거주를 하는 방법을 취하다 보니 전세 공급이 줄어 들게 되면서 오히려 전세가격이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처럼 전세 물건이 감소하면서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의 감소와 임차인들의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확대로 시장에 나오는 전세 매물이 크게 줄어든 상황입니다.
전세 대출 한도 축소와 함께 월세 전환이 높아지다 보니 세입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현재 상황입니다.
이러다 보니 입주 수요가 높은 곳들은 오히려 세입자들의 경쟁으로 보증금이 오르는 등의 부작용도 나오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이러한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장기적으로 입주물량 확대와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시장에 변동이 생길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