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방집값과 서울집값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네 상황에 따라서 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경우라면 만약 지방 집이 입지 안 좋고, 수요 약화 지역이라면, 수도권 좋은 입지로 이동하는 게 장기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지방 집이 괜찮은 입지 (예: 교통 좋고 산업 유치 가능성 있거나, 도심 접근성이 좋은 광역시 근처)이라면 그대로 보유하면서 수도권 쪽 소형 자산을 고민해 보는 것도 하나의 포트폴리오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다만 빨리 갈아타기 하려면 지금처럼 금리 높고 대출 규제 있는 시기에는 부담이 크므로, 타이밍을 잘 봐야 하고, 가격 조정 가능성과 리스크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Q. 신혼부부 주택 매수시에 무주택 유지 의견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신혼부부 중 한 명만 주택 보유, 다른 한 명은 무주택 유지 전략은 투자 측면에서 효과적입니다.특히 청약 기회 확보, 다주택자 규제 회피, 양도세 비과세, 대출 가능성 면에서 유리합니다청약 타이밍, 대출 조건, 자금 출처 등 세부적인 계획과 서류 정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Q. 이럴경우 월세를 이중으로 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가족 중 한 명만 주소 이전 + 전출 신고한 뒤,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는 것은 전입신고 요건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입니다,보증금을 못 받는 이상, 현재 집을 비워도 계약은 살아 있기 때문에 월세는 원칙적으로 발생합니다즉, 11월은 새 집 + 기존 집, 이중으로 월세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 신청과 협상으로 면제 시도는 가능),절차만 잘 지키면 문제될 일은 거의 없습니다주의할 점:1.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전에 실제 이사 & 전출 전입신고 필요2. 새 집으로 가족 1명만 전입신고 하더라도, 실제 거주로 인정될 수 있게 물건 배치, 수도·전기 사용 이력 등 준비3. 이전 집은 실제 점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가구, 짐 다 옮기고 비워야 안전)4. 중개인과는 모든 대화를 문자나 녹음으로 남겨 두세요단,집주인이 나중에 당신은 계약 위반으로 먼저 나갔으니 월세 내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으므로,계약 종료 전까지는 서면 합의, 혹은 임차권등기명령이 필요합니다
Q. 전세대출을 하고 싶은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뭐일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디딤돌대출은 내 집을 살 때 이용하는 매입용 대출입니다전세를 구할 때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나 일반은행 전세대출을 이용하셔야 합니다,디딤돌대출 기본 조건 (2025년 기준):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 기준 가능 (35세 전까지만 신청 가능)무주택자여야 함주택 매입 시만 가능 (전세용 아님)연 소득 6천만 원 이하 (단독) or 7천만 원 이하 (맞벌이)구입 주택 가격 5억 이하, 대출금 2억 이하 (수도권 외 1.8억)즉, 전세자금으로는 디딤돌대출 사용 불가버팀목 전세대출을 알아보셔야 합니다지금 3개월째 무직(소득 없음)이기 때문에, 정부지원 대출은 거의 어려운 상황입니다매매가 나을까? 전세가와 매매가 비슷하다면 장기적으론 매매가 유리하지만 그러나 현재 소득이 없어 매매도 불가능합니다단기적으로는 취업해서 3개월 이상 소득 입증하면 버팀목 or 디딤돌 이용가능합니다또 34세이므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이 가능한 나이입니다매매를 염두에 둔다면 지금부터 청약 준비도 병행하시기 바랍니다(가입 시, 디딤돌 대출 등에서도 우대금리 혜택 가능)
Q. 부동산 전세사기 예방법이 몹시도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그집 공시지가에 126%을 곱해서 나온 금액이 전세가이면 대출과 전세보증보험에 가입이 됩니다우선 그런집을 찾아야 되고 맘에 들어서 계약을 하게 된다면 등기부등본,건축물대장,본인확인을 해서 계약을 하셔야 합니다잔금치르고 전입신고,확정일자,전세보증보험까지 들어놓으면 그래도 안심할수 있습니다대부분 전세가가 높이서 방이 안빠져서 전세시기까지 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그런부분을 확인하시고 방을 얻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