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주차대수는 몇대가 적정한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아파트의 주차장 주차대수는 몇대가 적정한 수준인지가
궁금합니다.
1.5이상은 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은 1.5~1.75까지도 주차대수를 늘리고 있답니다
지하주차장을 통으로 해서 가능합니다
기존의 아파트들은 주차장이 좁아서 문제들이 있었는데 그래도 요즘아파트들은 여유가 조금있는거 같습니다
최소 1.2 정도면 그래도 부족한 느낌은 없을텐데 지역이 좀 잘 사는 지역이라고 하면 적어도 1.5 정도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의 적정 주차대수는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로 아파트의 연식, 위치, 전용면적 등에 따라 법적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기준입니다. 세대당 전용면적이 60㎡ 이하인 경우에는 0.7대 이상이 필요합니다. 서울시의 경우, 전용면적 85㎡ 이하일 때는 75㎡당 1대, 85㎡를 초과할 때는 65㎡당 1대의 주차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세대당 주차대수가 1.5 이상이 되어야 주차 문제로 인한 불편함을 겪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특히,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도 안 되는 경우에는 이중 주차나 삼중 주차를 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차장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1.5 이상을 기준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파트의 주차난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저녁 시간대에 해당 아파트 주차장을 직접 방문해보는 것입니다. 아파트 단지별로 주차난의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실적으로는 질문처럼 세대당 1.5대정도가 필요하나 건축시 적용되는 법정주차대수는 공동주택기준 30제곱미터 아파트는 0.5대, 30~60제곱이하의 경우 0.8입니다. 그리고 세대수 대비 주차면수 70%~80%미만의 범위에서 지자체별로 조정이 가능하고 국민평행 85제곱의 경우 1.1대, 대형평행의 경우는 1.3정도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현실과 규정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국토부에서도 세대당 1.2대로 상향하는 것을 추진하는것으로 알고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평수에 따라 다릅니다.
중대형 평수로 되어있으면 보통, 세대당 2대 이상은 있으니
1.5대 이상으로 되어있어도 주차난이 심하다는 단지가 있고
소형 평수로 되어있는 단지의 경우
세대당 1.2대로 되어있어도 주차장 널널하다는 후기가 있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 아파트 짓을 때는 1.5대 이하로 많이 지었으나 지금은 사람들이 세컨차 즉 세대당 2~3대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정말 충분한 주차 공간을 만들려면 1.5대 이상은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사료 됩니다
미래는 가구당이 아니라 인당 차를 가지고 다닐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의 주차장 주차대수는 몇대가 적정한 수준인지가
궁금합니다.
1.5이상은 되야하나요?
==> 아파트는 세대당 주차 1대를 기준으로 산정하지만, 최근 차량의 증가폭을 고려할 때 최소한 1세대당 1.5대를 기준으로 산정하심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아파트의 주차장 기준은 세대당 1대 (전용면적 60m2이하는 0.7대)이며 조례에 따라 20% 강화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즉, 강화시 1.2대가 되는데 요즘 한집에 차가 2대 이상 있는 집들이 많아서 현실성이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세대당 1.5대로 규정을 고치는 방법도 있겠지만, 자동차가 폐차되는 숫자보다 새로 만들어지는 숫자가 더 많으므로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인데 일본과 같이 주차장을 확보하지 못하면 차를 구입할 수 없게하거나, 5부제 등 을 하거나 차량 총량을 관리하거나 하는 등의 법 제도적인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마다 다를 것입니다. 부촌의 경우에는 대부분 가족 구성원 수만큼 차가 있는 곳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가구마다 1대 또는 없는 가구도 있기에 획일적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주차장 대수의 경우 적어도 1.4이상은 되어야 합니다. 1.3 정도 되면 보통 이중주차를 하게 됩니다. 물론 사는 곳이나 위치에 따라서 교통편이 좋은경우 차량이 많이 필요없지만 지방이나 교통편이 좋지 않은 지역의 경우 1세대에 2대 3대가 많습니다. 게다가 화물차량도 있기 때문에 3대인 경우도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주차대수에 대한 질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차대수는 입주민의 편리와 주거 환경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아파트의 적정 주차대수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가구당 1.5대 이상의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집니다. 이는 가구당 최소 1대의 차량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고, 가구당 2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한 가구도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신혼부부나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두 대 이상의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감안한 주차 공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지역과 아파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이 잘 발달한 도심 지역의 아파트는 주차대수가 상대적으로 적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 교외 지역이나 자가용 이용이 많은 지역에서는 1.5대 이상의 주차공간이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차대수는 아파트의 규모와 층수, 세대 수에 따라 적절하게 계산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대형 아파트 단지에서는 세대당 2대 이상의 주차공간이 필요할 수 있으며, 소규모 아파트 단지에서는 1대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주차 공간 부족 문제는 입주민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안전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파트를 선택할 때는 주차 공간의 충분성을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차대수가 충분하지 않은 아파트는 입주 후 생활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기준으로 가구당 1.5대 이상의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파트의 위치, 규모, 입주민의 생활 패턴 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