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울에서 자취방을 구할 때 월세 부담이 적은 지역은 어디인가요?
서울에서 자취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월세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동네를 찾고 있어요. 주변에서 신림, 서울대입구, 금천구, 은평구, 강서구 등이 괜찮다고 들었는데, 실제로도 그런지 궁금합니다.==> 네 신림동일대는 강남 3구에 진입할 수 있는 조건이 양호하지만 월세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면이 있습니다.
Q. 아파트 매도 계획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부모님이 아파트 2채 가지고 계신데요.이제 노후를 위해 매매를 생각중이십니다.A아파트 : 보유기간 29년, 취득가액 9천만원, 현재시세 7억, 비거주B아파트 : 보유기간 25년, 취득가액 7천만원, 현제시세 2억, 10년째 거주중두집모두 비조정대상지역입니다.어떤 계획으로 정리하는게 가장 좋은지 답변 부탁드립니다.절세방법과 발생할 세금에 관하여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우선적으로 양도소득세는 피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양도소득세가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매도일정을 수립하시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Q. 재건축 때문에 계약 기간 중 이사를 요구받았는데, 꼭 나가야 하나요?
2020년에 월세 재계약을 했고, 계약은 올해 11월까지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지난 4월 중순쯤 갑자기 집을 새로 지을 예정이라며 7월 15일까지 이사를 해달라고 요청했어요. 이사비랑 중개비는 지원해주겠다고는 했지만, 지금은 이사철도 아니고 매물도 부족해서 집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그런데 집주인은 계속 이사 날짜를 재촉하고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요. 아직 계약 기간이 남아 있는데, 저희가 원하는 집을 찾을 때까지 지금 집에 계속 살 수 있는 건가요?==> 현재 주임법을 고려할 때 계약종료시 까지 거주 가능합니다. 기타 사항은 임대인과 협의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